반응형
퍼프린젠스 식중독
많이 생소하시죠?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봄에 많이 발생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조리한 음식을 적정 온도로
보관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퍼프린젠스 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해 사계절 식중독을
유발하고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아주 잘 자랍니다.
보통 조리된 음식을 그냥
놔뒀다가 먹었을 때 퍼프린젠스
식중독게 걸릴 위험이 높은데요.
단시간에 집단으로 환자가
발생하기도 하고 대부분 열이
나지 않으며 묽은 설사와
구토를 겪습니다.
돼지고기, 닭고기, 육류가공품,
기름에 튀긴 식품이나
큰용기에서 조리된 스프, 국,
카레 등에서 퍼프린젠스 균이
잘 번식합니다.
퍼프린젠스의 포자는
100도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해도
죽지 않는다고 합니다.
60도 이하에서 깨어나 증식하며
생육 과정에서 독소를 생성합니다.
다만 독소는 열에 약해 75도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은
2시간 이내 섭취하고 보관된 음식은
75도에서 재가열 후 섭취하는 것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보관할 때는 되도록
여러개의 용기에 나눠 담고
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도 이상
차갑게 먹는 음식은 5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뜨거운 음식을 바로 냉장고에
넣게 되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올라가
보관 중인 음식도 상할 수 있으니
식혀서 보관해야 안전합니다.
300x25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