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없음

광역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by 향긋한커피 2020. 7. 17.
반응형

광역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광역알뜰교통카드라는 대중교통카드가 있습니다. 도입이 된지는 꽤 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생소하다고 느끼실텐데요. 그것은 바로 일부 지역에만 적용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소개해 드리는 이유는 바로 광역알뜰교통카드가 전국을 확대되었기 때문입니다. 할일율 최고 30%나 된다고 하니 꼭 챙겨야 겠죠??

 

그동안 알뜰카드는 자치구 단위로 참여했습니다. 그래서 종로, 중구, 구로, 서초, 강남 주민만이 이용할 수 있었는데요. 서울시가 시 차원으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알뜰카드로 대중교통비 절감을 받을 수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뜰카드는 대중교통 이용하면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대해 최대 20%까지 마일리지로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10%의 카드사 추가 할인을 받는다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는 교통카드인데요. 예를들어보자면 고양시에 거주하는 직장인이 광역버스를 타고 광화문에 내려 회사까지 걸어간다면 걸은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이 됩니다. 또한 연계 카드 10% 할인이 적용된다면 한 달 동안 2만5000원 가량 아낄 수 있습니다. 이쯤되면 어떻게 걷는 거리를 측정하냐인데요. 바로 마일리지 모바일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그렇다보니 꼭 서울이 아니더라도 전국 어디서나 적용이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땐 승용차 이용축소를 위해 평소보다 2배의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며 최대적립횟수는 44회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한 달에 대중교통을 15회 미만으로 이용할 경우 적립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점을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제외사항이 있다는 것을 말이죠.

 

기존에는 교통비 구분없이 적립되었던 마일리지가 금액에 따라 차등지급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저소득청소년에게는 추가로 적립되는 형식으로 바뀝니다. 19~34세 저소득 청년들은 증빙서류를 제출하게 되면 회당 100~200원을 추가로 적립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용할 수 있는 카드사도 기존 신한카드와 우리카드 밖에 없었는데요. 이번에 사업이 확장되면서 추가로 하나카드가 더 들어오게 되면서 이용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알뜰카드 이용희망자는 광역알뜰교통카드 누리집 (http://alcard.kr)에서 카드를 신청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스마트폰으로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제로페이형 모바일 광역 알뜰교통카드를 도입해 편의성을 높인다고 합니다. 

 

신용카드를 선택할때 주로 교통비 할인이나 통신비할인이 들어가는 카드를 선택했었는데 그 비율이 10%였는데요. 이것도 나름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30%나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다니 반드시 신청해서 써야 할 것 같습니다.

 

 

 

300x25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