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591 미추홀 근처 맛집 특이한 냉짬뽕 강추합니다 미추홀 근처 맛집으로 공원장 추천합니다. 해물이 가득 들어있어 마치 물회를 먹는 듯한 느낌의 냉짬뽕입니다. 시원하면서 칼칼한 국물에 해물이 푸짐하게 들어있고 시큼한 맛도 나서 이색적인 맛으로 매콤, 새콤, 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탱탱한 면발과 살얼음이 둥둥 떠있는 국물은 머리가 띵할 정도로 시원한데요. 뭔가 마치 정말 물회 먹는 느낌이랄까? 바삭바삭한 탕수육 또한 인기 메뉴니 같이 드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원장 주소 인천 미추홀구 인주대로211번길49-26 공원장 영업시간 매일 11:00~22:00 (브레이크 타임 15:30~17:00/ 공휴일, 주말 브레이크타임 없음) 가격 짜장8천원 짬뽕 9천원 2023. 11. 27. 목 폴라만 입으면 갑갑하고 간지러운 이유 여기서 확인해 보세요 저는 목 폴라 못 입어요. 불편하거든요. 꼭 누가 목을 조르는 거 같아서 못 입어요. 이것도 이유가 있더라고요. ㅎㅎ 촉각방어 촉각방어는 자극을 왜곡해 불쾌한 경험으로 느끼도록 몸이 과민반응하는 것입니다. 이 촉각방어 때문에 목 폴라만으로도 옥죄는 느낌이 드는 것이죠. 심한 분들은 반지와 팔찌에도 나타납니다. 제가 여기에 속해요. 심한건 아니지만 어지간하면 반지 팔찌 목걸이 안 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경학적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와는 다르게 간지러워 하는 분들도 있죠. 이것도 이유가 있습니다. 접촉성 피부염 피부를 계속 자극하면 접촉성 피부염으로 이어져 피부가 빨개지거나 부풀어오를 수 있습니다. 접촉성 피부염이 아니라면 니트 보관 과정에서 옷에 집먼지진드기나 .. 2023. 11. 27. 9.19 군사합의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봅시다 9.19군사합의는 2018년 9월19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된 군사분야 합의서를 말합니다. 이 합의서는 남북간의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위한 다양한 조치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9.19 남북군사합의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정상회담을 통해 채택한 9월 평야공동선언의 부속 합의를 말하며 남북군사당국이 4.27판문점선언 제2조의 군사적 긴장완화 및 전쟁위험 해소 합의를 이행할 것임을 공약한 합의서입니다. 9.19 군사합의 주요내용 적대행위 중지-지상·해상·공중 등 모든 공간에서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화-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 시범철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 등 서해 평화수역 조성-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에 평화수역 및 시범적.. 2023. 11. 23. 영화 서울의봄 보기전에 알아두면 좋은 12.12사태 12.12군사반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2.12사태 또는 12.12군사반란은 1979년12월12일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인 하나회의 일원 전두환이 주도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입니다. 10.26사건 이후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하고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면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정승화가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됩니다. 그러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은 이를 기회로 삼아 정승화 총장을 반란 혐의로 체포하였으며 이후 신군부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제5공화국의 출범으로 어이집니다. 하나회는 어떤 조익인가요? 하나회는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으로 군 내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하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활동했습니다. 이들은 군 내부에서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을 이용하여 다른 군인들을 지배하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군사적 행동을 일으.. 2023. 11. 23. 종부세는 부부 공동명의가 유리한가요? 통상 종부세 고지서는 11월 중하순부터 발송이 되죠. 6월1일 기준으로 개인당 소유한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산해 9억원을 초과하면 부과됩니다. (1가구 1주택자 12억원) 상당한 목돈을 내기 때문에 절세 전략도 필요한데요. 가장 대표적인 절세 방법은 부부 공동명의입니다. 종부세 부부 공동명의 공동명의는 주택지분을 쪼개서 공동으로 소유하는 걸 말하죠. 부부가 공동명의로 1주택을 소유하면 쏠쏠한 절세 혜택을 누립니다. 정부가 종부세 공제금액을 부부 각각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조정했기 때문에 총 18억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공동명의가 유리한가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고령자, 장기보유 공제와 비교 2021년 말 정부가 공포 시행한 종부세 개정안에 고령자, 장기보유자에 대한 세액 공제를 확대했기 때문.. 2023. 11. 22. 부탄가스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캠핑족이라면 한번쯤 고민해봤을텐데요. 부탄가스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대부분 폭발을 막기위해 구멍을 낸 후 버려야 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아닙니다. 부탄가스 버릴 때 부탄가스는 안전하게 사용하고 안전하게 버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가스가 남아 있다면 환기가 잘 되는 야외에서 가스 노즐을 완전히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 눌러 남은 가스를 빼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구멍을 내서 버리는 행동은 오히려 매우 위험한데요. 왜냐하면 구멍을 내는 과정에서 터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냥 잔여 가스를 모두 빼내면 캔 재활용을 모아두는 곳에 버리면 됩니다. 부탄가스 사용할 때 부탄가스를 사용할 때 휴대용 가스레인지 크기보다 큰 조리도구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열로 인해서 부탄가스가 터질 수 .. 2023. 11. 22.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