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만 증상이 좋아지면 대부분 약 복용을 중단합니다. 그렇다보니 남은 약들이 집 서럽장에 있다가 유통기한을 한참 넘긴 약들이 있을텐데요. 무작정 버리자니 환경오염의 주범이 될까 찝찝한 마음이 드는데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지역별 의약품 폐기 장소 달라서 주민센터 확인이 필요
약은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속합니다. 처음 들어보시죠? 그래서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됩니다.
일반쓰레기와 같이 버리면 토양으로 유입되어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는 내성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가져오죠. 항생제 내성균에 오염된 토양이나 바다에서 자란 식품을 섭취하면 사람에게도 항생제 내성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그럼 약을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약을 제대로 버리려면 약을 버려야 하는 곳을 알아야 합니다.
우체통, 약국, 지역보건소, 구청, 주민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민원실 등 지역 공공시설이 있습니다만 모든 지역에 해당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사실 문의를 해야 합니다.
우체통에 약을 버릴 수 있는 지역은?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시, 전남 나주시 3곳 뿐입니다.
주민센터나 보건소에서 배부하는 전용 회수봉투 또는 일반봉투 비닐봉투 등에 잘 밀봉해 폐의약품이라고 적어 가까운 우체동에 넣으면 됩니다. 우체통 위치는 전용봉투에 인쇄된 QR을 통해 찾을 수 있습니다.
다만 물약은 우체통에 버릴 수 없습니다. 물약이나 시럽은 주민센터 보건소 등 설치된 수거함에 버리면 됩니다.
수거함에는 물약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폐의약품을 버릴 수 있습니다.
서울기준 스마트서울맵 검색을 통해서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를 찾을 수 있는데요. 대체로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복지관이 대부분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