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넷플릭스 가구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까?

by 향긋한커피 2023. 1. 26.
반응형

넷플릭스가 계정공유를 유료화를 하겠다고 선언했죠. 그동안은 넷플릭스가 퍼져가는 과정에서 계정공유는 좋은 홍보라 여겨 크게 막아두지는 않았지만 사실 이때도 이미 약관에는 가족 구성원 외 다른 사람과의 공유 계정을 금지하고는 있었습니다. 그냥 묵인해 왔다는 거죠. 많이 알려야 했었으니까...하지만 지금은 계정 공유가 이익 보다는 손실이 더 크게 되어 본격적으로 유료화하겠다고 하는 겁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들이 있죠??

 

같은 가구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알까?

접속 기기의 IP주소, 기기ID, 계정활동 정보 등을 사용해 같은 접속자의 동거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넷플릭스의 설명입니다. 구체적인 방법까지 밝히진 않았지만 IP기반으로 동일 가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다른 지역에서 접속할 경우 IP가 달라질텐데...못 보게 된다는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는데요.

 

아무래도 한두번의 경우로 다른 IP접속을 제한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만약 반복적으로 접속이 이뤄진다면 가구 외 이용자로 판단되어 인증을 요구하겠죠??

 

 

반응형

 

넷플릭스의 같은 가구란?

넷플릭스 고객센터를 보면 계정은 한 가구 내에 함께 사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며 단일 가구가 넷플릭스 가구라고 되어 있습니다. 기본 계정 소유자의 디바이스 그리고 넷플릭스 가구 내에 함께 사는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죠. 말이 너무 어려워요.

 

이를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한 지붕 아래 함께 사는 사람끼리만 공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법적인 가족 여부와 상관이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가족이 아니더라도 함께 사는 사람이라면 계정 공유를 해서 사용이 가능하고 반대로 가족이라도 같이 살고 있지 않다면 계정 공유 대상자가 아니란 것입니다.

 

그렇기에 이번 계정 공유 유료화는 넷플릭스 가구 외 공유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즉, 법적으로 가족이라도 따로 사는 가족끼리 계정 공유를 했다면 해당되는 것이고 친구들끼리 공유했다면 친구들도 해당되는 것이죠. 이 경우 추가 회원 기능을 통해서 넷플릭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미 남미 국가에서 시범 운영이 되었습니다.

 

과연 추가 회원으로 등록이 얼마가 책정되느냐에 따라 추가 회원 기능이 정착되느냐 아니냐가 결정될 듯 합니다. 

300x25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