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호사카 유지 교수가 알려주는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

by 향긋한커피 2021. 3. 31.
반응형

독도가 우리땅임을 알고는 있지만 논리적으로 설명하라고 하면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호사카 유지 교수가 일본이 독도를 자기땅이라고 우기는 근거를 통해서 독도가 왜 우리땅인지를 알려주었습니다.

 

호사카유지 교수

유지 교수는 일본이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이유는 경제적 실리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1965년 한일협정 때 일본은 사실상 독도를 포기했습니다. 국제법상 작은 독도를 얻어도 영해12해리까지만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1994년 유엔 해안법이 정해지며 작은 섬이라도 영해200해리까지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자 일본은 1993년부터 독도를 일본땅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7세기부터 일본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했다 주장

실제로 당시 일본 돗토리현 지역 사람들은 울릉도와 독도를 왕래했다고 합니다. 17세기 중반까지는 우리나라와 일본 간 대립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17세기 후반에 울릉도와 독도를 중심으로 일본의 에도막부와 조선정부 사이에서 분쟁이 일어났지만 결국 일보은 독도를 조선땅이라 인정했고 울릉도와 독도는 자신의 영토가 아님을 문서로 남겼습니다.

 

 

독도는 주인이 없는 땅이다 주장

일본은 1905년 독도가 시마네현 오키섬에 인근에 있는 주인이 없는 땅이였기에 독도를 장악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17세기 일본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했다는 이전 주장과 상충하는 내용입니다. 1905년 이전에도 전복을 캐기 위해 울릉도에서 독도를 가는 한국인이 있었고 울릉도와 독도에도 일본 사람도 드나들었지만 이들은 수출할 때 세금을 냈습니다.

 

 

1904년 일본사람들이 공식문서에 독도라고 이름을 남겼다

독도는 한국이름이었는데 당시 일본이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름은 곧 영유권을 나타내기 때문에 독도의 주인은 한국이라는 결과가 됩니다. 일본이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1905년입니다.

 

 

 

1904년 일본이 독도의 이름을 공문서에 올린 내용. 일본 국립공문서관 보관자료.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땅이 되었다 주장

1951년 제2차 세계대전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땅이 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이전부터 연합국은 최고사령관 각서인 스카핀을 통해 독도를 한국영토로 인정하고 있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도 독도지명이 빠진건 사실이지만 이는 울릉도를 내세워 작은 섬들은 다 빠진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독도 크기의 작은 섬은 한국에 2000개가 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독도의 본도인 울릉도가 기재되었고 연합국 합의를 변경한다는 내용이 없기 때문에 독도는 그대로 한국영토로 인정되었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독도가 우리땅임을 주장하기 위해서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위의 사실만 알고 있어도 충분히 우리땅임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유지 교수님 외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내용 참고 바랍니다.

 

일본 독도를 자기땅이라 우기는 이유 (tistory.com)

 

일본 독도를 자기땅이라 우기는 이유

끊임없이 일본은 독도를 자기땅이라고 우리고 있습니다. 심지어 교과서에도 일본땅으로 실릴 예정이기도 합니다. 도대체 무엇때문에 일본은 독도를 자기땅이라고 우기는 것일까? 독도는 주인

y-storys.tistory.com

 

 

300x25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