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가위눌렸을 때 몸이 움직이지 않는 이유는?

by 향긋한커피 2024. 1. 7.
반응형

가위눌림은 잠을 자거나 잠에서 깨어날 때 일시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수면마비상태를 말합니다. 의식은 있지만 몸은 전혀 움직이지 않으니 귀신까지 말이 나오게 되면서 공포감을 주는데요. 참고로 가위눌림의 가위는 꿈에서 나타난 무서운 물체나 귀신을 뜻하는 전통적인 어휘입니다.

 

의학적으로 수면마비는 수면의 여러단계에서 렘수면 상태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누구나 렘수면 상태에서는 생생한 꿈을 꾸는데 이때 전신 근육은 마비가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때 신체가 마비되지 않는다면 꿈을 꾸면서 실제로 걷거나 말을 하는 등 꿈에서 일어난 일들이 실제 상황에서 잠자면서 표현을 하는 잠꼬대가 되는 것입니다.

 

렘수면 단계에서 신경을 억제하는 아미노산인 가바가 척추 운동신경으로 계속 분비되면 뇌는 깨어 있지만 몸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해 수면 마비가 나타나는데 이때는 말하고 싶어도 목소리가 나오지 않고 눈을 뜨고 싶어도 눈을 뜰 수 없으며 주먹을 쥐고 싶어도 쥐지 못하면서 공포감이 생기게 됩니다.

 

수면장애나 수면 문제가 있는 사람, 패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시차에 적응하느라 피로가 쌓인 사람, 교대근무자, 불안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있는 사람,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 렘수면을 억제하는 항우울제를 오래 복용했다가 갑자기 복용을 끊은 사람에게 가위눌림이 잘 나타납니다.

 

등을 바닥에 대고 똑바로 누워 잘 때 가위눌림이 더 발생하므로 가위눌림으로 힘들다면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손가락 발가락 같은 작은 근육에 힘을 줘 움직이도록 노력하면 마비가 더 빨리 풀립니다. 잠자는 동안 빛에 노출되면 뇌가 각성해 수면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침실의 조명을 끄거나 어둡게 하는 게 수면마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00x250
반응형

댓글